목록컴퓨터, 풀어그림 (355)
살아가는 이야기
filetype 키워드를 이용하면 원하는 타입의 파일만 검색할 수 있다고 한다. 예컨대 filetype:pdf KCC 이렇게 할 수 있다. 또 site 라는 키워드도 있다. 예컨대 site:ac.kr list 라고 하면 국내 학교의 모든 list를 검색한다.
내 컴퓨터가 사라졌어요. 내 컴퓨터가 사라졌는데 어떻게 이 글을 쓰고 있냐고요? 내 컴퓨터 안에 있는 내 컴퓨터 말이에요. 그게 사라졌다고요. 이상하게 들릴 지 모르지만, 윈도우즈를 써 본 사람이라면 다 알아들을 것이다. 처음 윈도우즈를 설치하면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 아이콘이 있다. 오랫동안 윈도우즈를 쓰다보면 나도 모르게 이것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누가 지웠는지 모르지만 내 컴퓨터도 내 컴퓨터가 사라진 경우가 있었다. 이것을 나타나게 하려면 바탕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속성(R)' 메뉴를 누르면 된다. 그럼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라는 대화 창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두 번 째 탭의 맨 아래 '바탕 화면 사용자 지정(D)...'(아래 그림 노란 단추)를 누르는 것이 관건이다. 그럼..
언젠가부터 gvim 색깔이 이상하게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 실행한 후에 :color default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highlight clear 명령어를 사용하면 기본 색상으로 바꿀 수 있었지만, 매번 이것을 지정해 주는 것이 정말 귀찮았다. Vim 설치 폴더의 _vimrc를 바꿔 보기도 하고 gvimrc_example.vim을 Vim 설치 폴더에 _gvimrc로 복사하여 바꿔 보기도 했지만, 도통 색을 바꿀 수가 없었다. :version 명령어를 수행하니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왔다. 시스템 vimrc 파일: "$VIM\vimrc" 사용자 vimrc 파일: "$HOME\_vimrc" 사용자 두 번째 vimrc 파일: "$VIM\_vimrc" 사용자 exrc 파일: "$HOME\_exrc" 사용자 ..
엑셀 함수를 잘 정리해 놓은 사이트를 찾았다. 사실 엑셀 도움말을 봐도 되지만, 더 자세한 설명을 보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겠다. http://www.bettersolutions.com/excel.aspx 여기서 Functions를 누르면 다음 URL로 이동한다. http://www.bettersolutions.com/excel/EDH113/NO911818331.htm 이 페이지에서는 함수 이름 알파벳 순서로 정리가 되어 있어 찾기 쉽다.
내가 Unix를 배울 때는 Bourne shell이 기본이었다. 그냥 sh이라고 되어 있던 프로그램이다. 그런데 잠시 후 C shell이 등장해서 모두들 유행처럼 csh로 갈아탔다. 그리고 tcsh과 ksh이 등장했었다. 그런데 요즘 linux를 설치하면 bash가 기본으로 설정된다. csh, tcsh에서는 표준 오류를 파이프로 받으려면 명령어 |& more 이렇게 하면 되었다. 그런데 bash에서는 조금 복잡해졌다. 2번 포트(표준오류)를 1번 포트(표준출력)와 합친 후에 이를 파이프로 받아야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써야 한다. 명령어 2>&1 | more 표준오류만 파이프로 받으려면 꼼수를 써야 한다. 표준출력을 다른 곳으로 보내고 그 결과를 표준오류를 표준출력과 합친 다음에 표준출력을 파이프로 ..
auto indent로 설정되어 있는 파일에 '복사-붙여넣기'를 수행하면 들여쓰기(indentation)가 엉망이 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최강 팁! 1G=G "큰 1 그램은 큰 그램이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원래 뜻은 첫 행으로 가서(1G) 다시 탭을 설정하는데(=) 마지막 행(G)까지 설정하라는 뜻이다. 정말 Vim 최강 팁이 아닐 수 없다.
지난 번 gnuplot을 사용하여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을 만드는 것을 살펴보았는데, gnuplot으로 latex 그림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찾았다. 만드는 방법은 매우 간단했다. terminal을 latex으로 설정해 주고 출력 파일 이름을 설정한 뒤에 그림을 그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 명령어를 차례대로 수행해 보자. gnuplot> set zeroaxis gnuplot> set terminal latex gnuplot> set output "eg1.tex" gnuplot> plot [-3.14:3.14] sin(x)그러면 eg1.tex 파일이 gnuplot/bin 폴더 내에 생긴다. 이를 latex으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은 그림을 얻을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http:..
세상엔 똑똑한 사람들도 많아서, 또 착한 사람들도 많아서 gnuplot 같은 유틸리티를 손쉽게 사용해 볼 수 있다. gnuplot으로 수학 함수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gnuplot은 다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www.gnuplot.info/ 여기서 사용한 버전은 MS-Windows용 32비트 버전 4.2.3이다. 1. 설치하고 설정하기 gnuplot의 압축을 풀면 gnuplot/bin 폴더에 wgnuplot.exe라는 프로그램이 생긴다. 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면 된다. 처음 수행하면 글꼴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는데, 이 때 윈도우의 텍스트 영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팝업 윈도우에서 "Choose Font..."을 선택하여 글꼴 크기를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