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컴퓨터, 풀어그림 (355)
살아가는 이야기
예전에 잘 되던 LaTeX 소스를 컴파일할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LaTeX Error: File `dvipdfm.def' not found.그 이유는 대개 문서 클래스나 패키지를 사용할 때, [dvipdfm] 옵션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LaTeX이 업그레이드되면서 dvipdfm은 dvipdfmx로 바뀌었기 때문에 옵션만 [dvipdfmx]로 바꾸면 위와 같은 오류는 사라진다.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많이 쓰는지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측정 방법은 대체적으로 검색 결과를 활용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처음 어떤 언어를 많이 쓰는지 글을 게시할 때에는 http://langpop.com을 기준으로 게시하였다. 그러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등 문제가 있어서 http://lang-index.sourceforge.net/으로 바꾸었다. 그런데 여기도 작년 7월 이후에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인기도를 측정하는 사이트를 하나 더 찾았다. TIOBE라는 사이트인데, 올해는 이 사이트를 기준으로 언어 인기도를 캡처해 둔다(http://www.tiobe.com/index.php/content/paperinfo/tpci/index.html). 이..
LaTeX 오류 중 아래와 같이 끝나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File ended while scanning use of \@writefile. \par l.16 \begin{document}분명 파일에는 아무 문제가 없는데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aux 파일을 지우고 다시 LaTeX을 수행하면 해결될 수도 있다. 추정컨대 \begin{document} 근처에서 TOC를 만들기 위해 .aux 파일을 참조하는데 .aux 파일이 어떤 이유에서 망가졌을 경우에 발생하는 것 같다. === For English Users ===Using LaTeX, if you got the following error message:! File ended while scanning use of \@wri..
도대체 제목을 보고 무슨 일인가 싶겠지만, 실상은 이렇다. MS Word 2013에서 수식을 넣고 파일로 저장한 후에 나중에 다시 파일을 열어보면 수식 글꼴만 자동으로 굵은 글꼴로 바뀌는 문제이다(Word 2012에도 같은 문제가 있음). 수식을 다시 보통 글꼴로 바꾼 다음 저장해도 다음에 다시 굵은 글꼴로 바뀌게 되니 사람 미칠 노릇이다. 패치 파일(업데이트 파일)이 없나 살펴보다가 발견한 해법이 있었으니, 해법이라기 보다 우회하는 방법이다. 수식을 포함한 본문을 선택하여 굵은 글꼴로 바꾸었다가(Ctrl-B) 다시 보통 글꼴로 바꾼 다음(한 번 더 Ctrl-B) 저장한다. 그러면 다음 번 부터는 신기하게도 제대로 열린다. 아무래도 본문과 수식 사이에 있는 어떤 플래그가 잘못 저장되는 것 같다. === ..
예전(KC2006 이후 초기 ko.TeX 시절)에는 EUC-KR[KS X 2901(KS C 5861)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MS Windows의 코드페이지 949(CP 949)에서 구현하고 있다. TeXWorks 편집기에서는 인코딩을 System으로 설정하고 "선택된 인코딩을 써서 다시 읽기"를 선택하면 제대로 보임] 인코딩 문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euc 옵션을 주면 되었지만 ko.TeX Live 2013부터는 이것이 불가능하다.\usepackage[euc]{kotex}그 배경에는 XeTeX이 있었으니 XeTeX은 다양한 인코딩을 지원하기 위해 TeX의 엔진 자체를 바꾼 것이다.ko.TeX Live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XeTeX도 함께 설치되는데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사용..

Simula 67에는 코루틴(coroutine)이라는 서브프로그램이 있다. Simula는 클래스 개념으로도 유명한 언어인데 60년대 언어다 보니 지금 사용해 볼 수 없고, 따라서 코루틴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 수 있는 참고자료가 드물다. 그런데 코루틴과 유사한 제너레이터(generator)를 Python에서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Python의 제너레이터를 이용하면 코루틴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 글은 Python의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코루틴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글이다. (사실 구글로 검색하면 코루틴에 관한 글이 많이 있지만 너무 복잡하여 거의 알아볼 수 없었다.) 코루틴은 서브프로그램이지만 글자 그대로 상호 협력하는 루틴(co-routine)이다. 따라서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개념이 없고 서브프로..
Windows 7이나 Windows 8에서 MinGW GCC를 설치한 후에 컴파일 시 권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1. 하나는 MinGW 설치 프로그램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마우스 우클릭후 팝업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음)하여 다시 설치하는 방법이고2. 두 번째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gcc를 실행하는 방법이다.아무래도 매번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것이 번거로우므로 1번이 진정한 해결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2번을 수행하여 컴파일이 된다면 1번을 수행해 보는 것이 좋겠다. ===== For English Users =====There occurs "permission denied" problem compiling a C c..
안드로이드 앱 설치 시에 저장공간 부족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종종 있다. 업데이트할 때에도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내가 최근 겪은 오류는 Google Play Store의 Google+ 엔진 업데이트 시에 이런 메시지가 나왔다. 구글링해 보니 '루팅' 후에 /cache를 지우라는 말이 있는데, 일반 사용자에게는 따라하기 힘든 말이다. 간단한 방법이 있는데, 아래 어플을 설치하고 정리하면 된다.Clean Master: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hl=ko&id=com.cleanmaster.mguard설치 후 남아 있는 불필요한 파일이나 인터넷 캐시 등을 제거하는 어플인데, 아마 앞서 말한 /cache도 청소해 주는 것 같다. 그리고 일단 스캔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