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띄어쓰기 (25)
살아가는 이야기
명사나 대명사 등 체언 뒤에 '같이'를 쓸 경우에는 대부분 다음 두 경우 중 하나로 쓴다. 그 사람과 같이 운동했어. 그 사람같이 잘하고 싶어. 이미 답을 눈치챈 분도 있겠지만 1의 예에서 '같이'는 '함께'란 의미로 사용된 부사이며 2의 예에서 '같이'는 '처럼'이란 의미로 사용된 조사이다. 부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띄어 쓰고 조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붙여 쓴다. 조사인지 판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앞 말이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앞 말이 체언이라면 '같이'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부사로 사용될 경우에도 '처럼'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조사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이 판별법이 아주 효과적이다. 선생님같이 하세요. 선생님과 같이 하세요. 선생님과같이 하세요. 3번은 처럼의 ..
잘못하다, 잘 못하다, 잘못 하다, 이 셋을 구별하는 핵심은 (1) "무엇인가를 그릇되게 한 '잘못'"과 열심히 하긴 하지만 (2) "충분한 수준으로 해내지 못하는 '잘 못'"을 구별하는 것이다. 전자(1)가 더 심각한 "잘못"이고 후자(2)는 "잘못"이라기 보다 칭찬해 주어야 할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라면 "잘못하다"로 붙여 쓰고 후자라면 "잘 못하다"로 띄어 쓴다. 잘못하다(doing wrong): 말 한 마디 잘못해서 싸움날 수 있어. 잘 못하다(not doing well): 아무리 연습해도 줄넘기는 잘 못하겠어. (1)의 "잘못하다"는 '불행하게 하다', '적당하지 않게 하다'란 뜻도 있는데, 주로 "잘못하면", "잘못하다가는" 형태로 사용된다. 마지막 잘못 하다는 앞서 설명한 (1)..
'외'는 앞에서 말한 것 말고 다른 것을 뜻하는 의존 명사이다. 따라서 앞 말과 띄어 쓴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밖'도 역시 의존 명사이므로 앞 말과 띄어 쓴다. 그 외에도 여러 경우가 있다. 그 밖에도 여러 경우가 있다. 하지만 '밖'은 조사 '-밖에'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대개 앞의 말이 관형사가 아니라 '그 사람(he/she)'을 나타내는 일반 명사이다. 이 경우 '-밖에'는 앞 말에 붙여 쓴다. 그 일을 해결할 사람은 그밖에 없어. (O) (He is the only one to solve it.) 그 일을 해결할 사람은 그 밖에 없어. (X) 하지만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외'는 붙여 쓰지 않는다. '외(外)'는 한자어로서 조사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
조사를 구별하는 것은 사실 매우 쉽다.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뒤에 나타나는 것은 대부분 조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체언 뒤의 '만'은 조사로 붙여 쓰고 그 외에는 띄어 쓰면 된다. 하루 종일 공부만 했다. (조사 '만') 그럴 만도 하다. (의존 명사 '만') 그런데 간혹 체언 뒤에서 의존 명사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 '만'은 시간이나 횟수를 의미한다. 세 번 만에 합격했다. (의존 명사 '만') 십 년 만의 귀국이다. (의존 명사 '만') 이 경우에는 체언 뒤에 나옴에도 불구하고 띄어 써야 한다. 따라서 단순히 체언 뒤에 '만'이 나타난다고 해서 무조건 붙여 쓰면 안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만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이를 '후'로 바꾸어 보면 말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체언 뒤에 나타..
이미 제목에 답이 나와 있어서 맥이 풀리긴 하지만 '해야겠다'의 띄어쓰기는 모두 붙여 쓰는 것이다. 형태소 분석을 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하-여야-겠-다 여기서 '-여야-'가 줄어 '-야-'로 된 것이다. 그러므로 '해야겠다'는 모두 붙여 쓴다. 해야겠다. '-겠-다'를 '-하-겠-다'로 바꾸게 되면 다음과 같이 띄어 써야 한다. 해야 하겠다 두 번째 '하겠다'가 보조 용언이므로 본 용언 '해야'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것처럼 '하겠다'가 아니라 '겠다'라면 어미로 취급하여 붙여 쓴다.
'지'는 의존 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ㄴ지' 형태의 연결 어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의존 명사로 쓰일 때에는 앞 말과 띄어 써야 하고, 연결 어미로 쓰일 때에는 당연히 앞 말에 붙여 써야 한다. 그런데 의존 명사로 쓰일 때에도 앞에 용언의 활용형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띄어 써야 하는지 붙여 써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다행스럽게도 쉽게 구별하는 방법이 있으니, 바로 의미에 따른 구별이다.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시간 경과의 의미로 사용된다. 과거 어떤 일이 있었던 때부터 지금까지의 '동안(period)'을 의미할 때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그 외의 경우에는 연결 어미이므로 붙여 쓴다. 시간 경과의 의미를 확인하려면 '지'를 '후(後, after)'로 바꾸어 써 보면 된다. 바꾸어서 ..
'관련짓다'일까 '관련 짓다'일까? 관련, 규정, 결정, 종결 뒤에는 '-하다'와 '짓다'를 모두 붙여 쓴다. '짓다'를 접미사 '-짓다'로 본 것이다. 하지만 그 외의 경우에 '짓다'는 접미사가 아니라 동사이므로 띄어 써야 한다. 그러므로 '관련짓다'는 붙여 쓰지만 '연관 짓다'는 띄어쓴다. 마찬가지로 '웃음 짓다', '미소 짓다'에서 '짓다'가 동사이므로 띄어쓴다. 그러나 '눈물짓다'의 '-짓다'는 접미사로 보아 붙여 쓴다. 결국 '웃음' 뒤에 오는 '짓다'는 띄어쓰고(웃음 짓다) '눈물' 뒤에 오는 '짓다'는 붙여쓴다(눈물짓다). 정말 울고 싶을 지경이다. 관련, 규정, 결정, 종결과 같이 '짓다'를 붙여 쓰는 경우가 또 있을까? 아래와 같이 매우 많다. 갈래짓다 결론짓다 결말짓다 결정짓다 관련짓다..
일전에 '만하다' 띄어쓰기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다. 이 글에서 다룬 '만하다'는 앞에 활용형이 나타나는 '-ㄹ 만하다'였다. 이 경우에 '만하다'는 보조용언으로서 앞 활용형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며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그래서 아래 둘 다 맞다.정말 볼 만한 광경이다. (O) 정말 볼만한 광경이다. (O)(사실 뜻이 약간 다르다. 전자는 '볼 가치가 있다'는 뜻이고 후자는 '아름답다'라는 뜻이다. 두 가지 뜻이 같은 것처럼 생각된다면 두 사람이 삿대질하며 싸우는 광경을 생각해 보자. 이는 '볼 만하지만', '볼만한' 것은 아니다.)그런데 '만 하다'가 체언 뒤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쟁반만 하다', '형만 하다' 등의 경우가 바로 이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만'은 조사, '하다'는 형용..